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갤러리/매뉴얼

세계 각 나라의 자동차 메이커들

by netfabb 2022. 6. 29.
728x90

현대자동차(주) (Hyundai Motor Company)

현대자동차 심볼의 '타원'은 세계를 무대로 뛰고 있는 현대자동차로, 'H'는 현대자동차의 영문표기 첫글자를 속도감을 주어 두 사람이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使', '고객과 기업'이 신뢰와 화합 속에 2000년대 세계속으로 웅비하는 현대자동차의 이미지 표현입니다.

1967 12월 설립하여 포드자동차와 기술계약을 맺고 포드 코티나를 조립, 생산하면서 시작했습니다. 1974년 주식의 상장과 함께 토리노 모터쇼의 성공적인 데뷔를 기반으로 1976년 한국 최초의 자동차 고유모델인 포니를 시판하였습니다. 포니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디자인회사 이탈디자인주지아로에서 디자인한 모델로 울산공장 준공 이후 처음으로 생산된 자동차였습니다. 한국인의 취향에 맞으면서 내구성이 좋아 국내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기록하고, 1984년 단일차종으로 50만대 생산을 돌파하였습니다.

포니 이후 1985년에 등장한 엑셀은 미국에 최초로 수출된 우리나라 자동차가 되었습니다.

그 후 국내 고급대형차의 대명사인 그랜저와 중형차 소나타를 출시하였고 현재 국내 최대의 자동차 회사로 발돋움 하였습니다.

1976년 에콰도르에 포니 수출을 시작으로 인도·중국·터키·미국 등지에 해외공장과 연구 시설을 두고 190여 나라에 수출하고 있으며, 1991년에는 국내 최초로 알파엔진 및 변속기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차량 국산화에 기여했습니다. 승용차 외에 트럭·덤프트럭·버스·밴 등 각종 차량을 제작 판매하며, 1998 10월 기아자동차()와 아시아자동차공업()를 인수하였고, 2000 9월 현대그룹의 다른 계열사 9개사와 함께 그룹에서 분리되어 현대자동차그룹을 형성하였습니다.

국내 최대 자동차 기업인 현대자동차의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31번지에, 공장은 울산광역시 북구, 전라북도 완주군, 충청남도 아산시 등에 있습니다.

 

GM대우자동차 (GM DAEWOO Auto & Technology Company)

대우자동차의 엠블렘은 대우그룹의 심벌마크를 응용하여, 자동차에 적합하도록 형상화한 것으로 미래지향적인 발전의지를 형상화한 이 엠블렘의 반타원형은 온세계, 우주를 상징하며, 위로 확산되는 형태는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대우자동차의 창조적 도전의지를 표현한 것입니다.

이 엠블렘은 95년부터 서유럽의 수출차량과 대형 트럭/버스에 우선 적용해 왔으며, 내수 승용차에는 '대우'의 영문 첫자인 D를 양쪽으로 맞붙여 형상화한 '더블 D' 엠블렘을 부착해 왔으나 21세기 세계 초일류 자동차메이커로의 도약을 위해 대우차의 이미지 통합차원에서 96 11월 출시되는 라노스를 시작으로 모든 차종에 이

엠블렘을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이 엠블렘을 디자인한 업체는 대우자동차의 많은 차량을 설계한 이탈디자인입니다.

1965년 신진자동차공업()으로 출발하여, 1972년 신진자동차와 미국의 제너럴모터스(GM)가 자본금 180억 원을 공동출자, 종합자동차 제너럴모터스코리아자동차()를 설립, 1976년 새한자동차()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1978년 대우실업()이 경영에 참여하였고, 1983년 상호를 대우자동차()로 변경한 후 1991년에 국내 최초의 국민차(경차) 티코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1992년에는 제너럴모터스와 합작관계를 청산하였고, 1996년 독일 지멘스그룹과 종합자동차 부품 합작회사 설립을 계약하였으며, 이어 우즈베키스탄에 연간 20만대 생산 규모의 자동차 공장을 완공하였습니다.

1998년 쌍용자동차()의 판매권 인수로 무쏘·코란도·체어맨·이스타나 등을 판매, 경차부터 대형승용차, 사륜구동 지프형 차에 걸쳐 전차종 풀라인업 체제를 갖추게 되었으나 대우사태 등으로 경영/영업력이 약화되면서 1999 8월 워크아웃 대상 기업으로 지정되었고, 2000 11월 회사정리절차개시가 결정되었습니다.

GM대우자동차는 2001 10월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제너럴모터스가 대우자동차()의 창원·군산 승용차사업 부문과 AS사업 부문, 기술연구소를 인수해 2002 10 17일 설립하였습니다. 같은 해 12월 창원에 엔진공장을 준공하고, 2003 3월과 7월에 각각 서유럽과 북아메리카에 처음으로 자동차를 수출하였습니다.

2003 11월 디자인센터를 개관하고, 같은 해 12월 창원공장 경차 생산 200만 대를 돌파하였으며, 2004 5월 보령공장을 인수하고, 부평공장 엔진 생산 400만 대를 달성하였습니다.

설립 이후 서울자동차쇼, 제네바자동차쇼, 디트로이트자동차쇼 등에 다양한 모터쇼에 참가하였고, 2003 12월에는 마티즈와 라세티가 중국시장에서 2004년 최고의 차로 선정되었습니다. 2004 5월에는 L6 매그너스가 한국표준협회 2004 신기술 으뜸상 대상을 받았습니다.

군산·창원·부평에 생산공장이 있고, 베트남 하노이에 연간 2 2000대를 생산할 수 있는 해외 생산공장이 있습니다. 국내 직영 영업소는 129, 대리점은 575개이고, 독일·프랑스·에스파냐·이탈리아·오스트리아·스위스·푸에르토리코 등에 해외 곳곳에 영업소가 있습니다.

2004 4월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국내 GM그룹의 모기업으로 규정된 GM대우자동차는 현재 9,400여명의 직원이 연간 승용차 88만대(2004년 기준)의 자동차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본사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기아자동차(주) (Kia Motors Corporation)

기아자동차의 새로운 심볼마크는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영문 워드심볼마크(Word Symbol Mark)로 개발되었으며, 창립 50주년을 계기로 "세계적 기업, 국제적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기아의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지구를 상징하는 유연하고 세련된 타원은 세계무대를 나타내며 타원 속의 영문 "KIA"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쉽고 동일한 발음으로 친근감을 느끼게하여 세계를 달리는, 세계속의 기아자동차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심볼마크의 색상은 태양의 정열을 상징하는

메인레드를 선정하여 생동감있고 진취적으로 행동하는 기아의 힘찬 도약의지를 표현했습니다.

국내 최초로 가솔린 엔진을 생산한 기아자동차는 1944 12 21 '경성정공'이란 이름으로 설립되어 우리나라 최초의 자전거 '3000리호'를 출시하고 1952 2월 회사이름을 기아산업()로 변경하였습니다. 1961 2륜 오토바이의 생산을 시작으로 1962년에 일본 마쓰다자동차의 기술제휴로 생산한 배기량 356cc 3륜 화물차 K-360을 생산하였으며, 1973 '기아정기'를 인수한 후 증권 거래소에 상장하였습니다. 1974년 마쓰다자동차의 '파밀리아'의 차체를 바탕으로 최초의 국산 승용차 브리사를 제작하였습니다.

1976 10 '아시아자동차공업'을 인수하였고, 기아기공을 설립하였습니다. 1978년 디젤 엔진을 생산하였고 1981년 정부로부터 '중소형화물차 및 버스 전문생산업체'로 지정받았습니다. 그후 트럭을 개조해 내놓은 소형승합차 봉고는 어려웠던 기아산업을 일으킨 '봉고 신화'로 기아자동차의 전성기를 이뤘습니다.

이후 프라이드의 출시로 13년간 국내 소형차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후 1990 '기아자동차'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1997년 경영의 악화로 부도를 맞았으며, 이후 1998 10월 입찰을 통해 '현대자동차'에 인수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되었고, 2000 8월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 현대자동차()와 함께 현대자동차그룹을 형성하였습니다.

현재는 각종 승용차와 RV, 상용차, 택시, 버스, 특장차 등 다양한 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쌍용자동차(주) (Ssangyong Motor Company)

쓰리써클(Three Cicle)로 불리는 쌍용엠블렘은 쌍용자동차의 3대 기업이념인 고객만족, 최고품질, 화합전진을 상징하는 3개의 원(Circle)을 하나의 고리로 묶어 형상화한 것입니다. 쌍용자동차는 대우그룹에 편입되면서 한 때 대우자동차의 엠블렘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2000년부터 출고되는 쌍용의 전 생산차종은 전면부와 후면부, , 인테리어 부위 등에 쓰리써클 엠블렘이 부착되고 있습니다.

1954년 하동환 제작소 설립 이후 자동차 생산 5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쌍용자동차는 설립 당시에는 국내 최초로 대형버스를 생산한데 이어 1967년 우리 나라 최초로 버스를 수출하는 등 자동차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한국자동차 산업의 태동기를 이끌었습니다.

1970년대 덤프트럭, 카고, 고속버스 등 대형상용차와 소방차, 탱크로리 등 특장차 전문생산업체로 회사규모를 확대, 발전시키며 한국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하동환 자동차공업() 1977년에 동아자동차()로 상호를 변경하고, 1979년 지금의 평택공장을 준공하는 등 종합자동차회사로서의 규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1980년대에 ()거화를 인수, 본격적으로 4륜구동차 생산에 돌입하였고, 1988년 쌍용자동차()로 새롭게 탄생하면서 한국 최초의 스테이션웨건형 4륜구동차인 '코란도훼미리'를 생산해냄으로써 국내 자동차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국내 독보적인 사륜구동차 생산업체로서 명성을 쌓아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91년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 메이커인 독일 벤츠( 다임러크라이슬러)와의 제휴로 본격적인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91년 소형상용차와 디젤엔진에 대한 기술제휴, '93년 대형승용차 및 가솔린엔진 기술제휴에 이어 자본 합작까지 폭넓게 협력관계가 이루어졌습니다.

쌍용자동차는 '98년 들어 대우그룹으로 인수되면서 대우계열사의 길을 걸었으나,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독자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경영개선 노력으로 2001 7, 1991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경상이익을 내는 성과를 거뒀으며, 2001년에는 독자적인 수출망을 재구축하여 본격 가동에 들어감으로써 세계 102개국의 수출대리점과 차량 공급계약을 맺었습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6개의 현지 조립 생산을 위한 제휴사를 선정하는 등 수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04 10월 중국의 '상하이자동차'에 경영권이 넘어갔습니다.

 

르노삼성자동차(주) (Renault Samsung Motors Co. Ltd.)

르노삼성자동차의 엠블럼은 태풍의 눈을 표현한 것으로 소우주 속에서 고객 위주의 신 자동차 문화를 펼쳐나가는 약동감을 표출하고 있으며, 상하좌우의 대칭적 구조는 르노삼성자동차가 추구하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1995 3월 설립된 삼성자동차()를 프랑스의 르노자동차가 인수하여 2000 9 1일 르노삼성자동차()로 출범하였습니다.

2001 2월 르노삼성자동차 중기발전계획을 발표하였고, 한국 자동차 공업협회(KAMA) 가입, SM5가 출범 후 최초로 월 판매량 5,000대를 돌파 후 5월에는 10만 대 생산을 돌파하였으며, 2002 9월 준중형차 SM3, 2004 12월 대형세단 SM7을 출시하여 현재 SM3, 5, 7 의 자동차 라인업을 구성하였습니다.

주요 사업은 각종 자동차 및 수송용 기계 기구와 동 부품의 제조 및 판매, 각종 엔진과 엔진장착설비의 제조 및 판매, 자동차 정비, 수리 및 검사 대행사업, 수출입업(자동차 및 동 부품, 자동차 생산설비 및 보조 자재, 자동차 생산용 원부자재, 자동차 생산설비의 유지, 보수용 설비 및 공기구 비품 등) 등이며, 연간 생산능력 24만 대입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에 있고, 경기도 기흥에는 중앙연구소가 있으며, 공장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습니다. '르노삼성자동차'의 자본금 4,400억원에 주주구성은 르노 80.1%, 삼성 19.9%의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토자동차 (Proto Motors)

 

쌍용자동차의 체어맨 등의 리무진 개발 프로젝트와 현대자동차의 티뷰론 신형 모델 RT-X, 기아의 엘란 4인승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여러 모터쇼의 컨셉트카, 전시물을 만들었으며, 2002년의 청와대 의전용 컨버터블 리무진 제작에도 참여했습니다.

2002년 한국 최초의 수퍼카 스피라(Spirra)를 발표하고 2003년 건설교통부 완성차 업체로 등록하여 한국에서 6번째의 완성차 제조업체가 되었으며 2005년부터 제조와 판매를 본격화 하였습니다.

1997 6 14일 경기도 용인시에 설립된 프로토자동차()는 카로체리아(carrozzeria:자동차공방)를 지향하고 있는 회사로서, 자동차의 스타일링, 엔지니어링, 프로토타입 제작 등 기술용역을 제공하고 스포츠카, 컨버터블 등을 주문으로 소량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주)평화자동차 (Pyeonghwa Motors)

1998 1월에 설립된 남포의 평화자동차는 남북최초의 본격적인 합영회사로서 일본과 합작형태로 설립된 서울의 평화자동차가 70%, 평양의 민흥총회사가 30%를 투자한 자동차 제조 전문회사입니다.

남측의 ()평화자동차는 통일교와 관련깊은 기업으로 1991년부터 준비하기 시작한 공장은 건설하기까지 7년이 걸렸으며, 설립당시는 지금과 다르게 오고가지 못했었습니다. ()평화자동차는 1997 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부터 현재의 남포 단지에 자동차 공장건설 부지 지정을 받았고, 북한은 98 6 3일 최고인민회의 상설회의 결정으로 평화자동차의 외국인 직원에게 왕래 편의 등의 특혜를

제공했습니다.

평화자동차 공장이 설립된 남포시는 인천과 비슷한 입지적 조건을 가진 항구도시로써 평양에서 약 40km의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땅은 김일성 주석 생존시 '공업단지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땅 위에 공장이 세워지고 2002 2월 자동차가 생산되었습니다.

북한에서는 모든 수입자동차와 중고자동차를 더 이상 반입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제정하였고, 분단 후 최초로 자동차 상업광고판을 평양 시내에 세울 수 있도록 승인하였습니다.

또 평화자동차총회사가 수출입하는 상품가격을 국제시장가를 고려한 거래 당사자 합의로 정하며 북한내 판매가를 수요자와 합의로 정하도록 하는 한편 관세 비적용 및 5년간 재산세 면제 등의 세제상 특례를 부여하였습니다.

이러한 평화자동차는 국가기관들과 국영기업들, 외국공관, 국제기구, 평양주재외국회사, 개인 자가용 목적으로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메이커.pdf
2.20MB

 

728x90

'직장인 갤러리 > 매뉴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H Hicom300 사출성형기 매뉴얼  (0) 2022.10.06
LS 사출성형기 취급설명서 LGE170II  (0) 2022.10.06
CAMDS 사용 매뉴얼  (0) 2022.06.24
YUCON-800  (0) 2022.06.22
YUCON-650  (0) 2022.06.22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